고위험신생아 질환
신생아 황달 | ||
---|---|---|
황달이란, 생후 첫 주 이내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서 관찰되는, 신생아에서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황달이 생기는 이유는 크게 황달의 원인이 되는 빌리루빈의 생성이 증가되거나 생성량은 비슷하나 대사와 배설에 이상이 있는 경우 초래될 수 있으며, 크게 포합 빌리루빈 증가에 의한 황달과, 불포합 빌리루빈 증가에 의한 황달로 구분하게 됩니다. 건강한 신생아에서 흔히 보는 황달은 대부분 불포합 빌리루빈의 증가에 의한 황달입니다.
불포합 빌리루빈 증가에 의한 황달
불포합 빌리루빈 증가에 의한 황달은 출현 시기에 따라 원인을 추정할 수 있게 되는데, 생후 24시간 이내 나타나는 경우에는 ABO, Rh 부적합증 등과 같이 산모와 아기의 혈액형의 차이로 인해 피가 깨지는 용혈이 원인인 경우가 많으며, 생후 2~4일 경에는 생리적 황달이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약, 생후 1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경우에는 간염, 패혈증, 담도 폐쇄, 모유 황달 등의 다른 원인들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불포합 빌리루빈 증가에 의한 황달 소견을 보이는 경우, 위와 같이 시기에 따른 원인을 추정하여 필요한 검사를 시행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피검사를 통해 빈혈, 용혈 등의 소견을 확인하고, 기타 간염, 패혈증 등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게 되며 필요하면 광선 치료, 교환 수혈 등의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모유 황달
모유 황달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대게 생후 3일 이후에 시작되어 길게는 2~3주까지 지속되며, 일반적으로 계속 모유 수유를 하여도 황달 수치는 서서히 떨어지나, 수치가 많이 높은 경우에는 1~2일간 모유 수유를 중단하면 급격히 감소하고, 이후 모유 수유를 재개해도 다시 이전처럼 올라가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포합 빌리루빈 증가에 의한 황달
포합 빌리루빈 증가에 의한 황달은 간세포에서 만들어진 포합 빌리루빈이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지 못해서 생기게 되는 것으로, 원인으로는 간 기능 이상, 장 폐색, 총 정맥 영양, 담도 이상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원인을 알기 위해 혈액 검사를 통해 간 기능, 간염 등을 확인하고, 복부 초음파 검사와 기타 방사선 검사를 통해 간, 담도계 이상을 확인하게 됩니다. 보통 미숙아로 태어나 오랜 기간 정맥 영양 공급을 받고 수유 진행이 잘 되지 않았던 아가들에게서 많이 나타나게 되며, 일반적으로 담즙 배설에 도움을 주는 영양 공급, 비타민 결핍 예방 등의 보존적 치료와 담즙 배설을 촉진시키는 약물 치료를 시행하면서 경구 영양이 증가함에 따라 회복되지만, 드물게 담도계 패쇄가 원인이 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 이전글
- 자궁 내 성장 지연
- 다음글
- 태아 수종